서버에서 UDP 포트 사용

,

도큐먼트를 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습니다.

클라이언트는 서버와 TCP 연결을 유지하면서, 서버측의 UDP port 중 한개가 선정되어 클라이언트와 통신하는 데 사용됩니다.
즉, 서버측은 여러개의 UDP 포트를 접속한 모든 클라이언트들에게 공유하면서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4만개의 클라이언트가 20000개의 UDP 포트를 연 서버와 통신할 경우, 서버측의 UDP port 하나당 대략 2개의 클라이언트가 통신하게 됩니다.

TCP 접속 성공 후 UDP 접속을 시도하는데 UDP 포트는 따로 지정하지 않고도 어떻게 UDP 포트를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현재 서버를 AWS EC2에 올려 놓고 방화벽에서 TCP 접속 포트만 열어 놓았습니다. UDP 포트는 따로 오픈하지 않았는데 그럼 UDP가 사용되지 않는건가요? 만약 그렇다면 따로 UDP 포트를 설정 해줘야 하는 건가요?

Proud.CNetServer.Start 호출 시 Proud.CStartServerParameter.m_udpAssignMode에 지정하는 UDP 포트들을 말씀하신 것 같은데요. 말씀하신 UDP 포트들은 NAT penetrating을 할 때에 사용되어집니다.
AWS ec2에 서버를 띄우신다면 static assign 모드를 사용하게 하셔서 특정 포트들을 지정하신 뒤에, 지정하신 포트들을 aws 관리 페이지의 security group에서 예외 처리하셔야 됩니다.
이 UDP 포트들로 통신을 하지 못하게 되면 앞서 말씀드린대로 NAT penetrating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모든 패킷이 서버를 경유하여 릴레이 됩니다.